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정기예금 이자 높은 은행, HB저축은행 금리가 최고 6%
    재테크 2022. 10. 20. 20:22
    반응형

    사회 초년생일때가 생각이 납니다.

    첫 월급을 받고 기쁜 생각보다는 아 이걸로 집도 못 사겠구나 했었는데,

    그래서 가장 먼저 했던 것이 바로 정기적금을 드는 것이었습니다.

     

    적금이 만기가 다가오고 수령했는데, 생각보다 적은 이자에 실망하며 해지 후

    써보지도 못하고 은행원의 추천으로 바로 정기예금에 가입했었죠.

    지금 생각해보면 목돈을 만들기 위한 정석을 그때 배웠지 않나 싶습니다.

     

    그 당시는 저금리였지만 요즘은 또 말이 다르죠. 

    적금은 최고 10%인 상품도 있고, 그에 비해 정기예금은 금리가 조금 낮지만

    오늘 소개할 HB저축은행은 최고 6%대의 정기예금 상품입니다.

     

    본 포스팅은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HB저축은행

     

    #. HB저축은행 정기예금,

    상품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가입기간 : 6개월 ~ 36개월. 
    •  가입금액 : 10만원 이상.
    •  이자지급시기 : 매월이자지급(단리) / 만기 일시 원리금 지급(복리)
    •  금리 : 4% ~ 최고 6.06%.

     

    가입기간은 6개월부터 일, 월 단위로 최고 36개월까지 가입 가능하며

    금액은 10만 원 이상입니다. 한번 예치하면 추가납입이 불가능한 정기예금 상품이므로

    최대한 많은 금액을 예치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이자지급시기는 월마다 지급하느냐 만기에 일시 지급하느냐에 따라서 단리와 복리로 나뉘는데,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당연히 복리로 하는 것이 매우 유리합니다.

     

    금리는 4% ~ 최고 6.06%인데, 가입기간에 따라서 적용금리가 달라집니다.

     

    가입기간 6개월 12개월 24개월 36개월
    월 이자지급
    (만기일시지급)
    4.00%
    (4.03%)
    5.90%
    (6.06%)
    4.60%
    (4.80%)
    4.60%
    (4.92%)

     

    정기적금 상품이라면 당연히 금리가 높은 12개월 상품을 추천하지만,
    복리가 가능한 상품은 예치기간도 중요하므로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 납입금액과 기간에 따른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  1천만원 12개월 단리 금리 5.9%   세후 이자 :  499,140.
    •  1천만원 12개월 복리 금리 6.06%  세후 이자 : 527,158.
    •  1천만원 36개월 단리 금리  4.6% 세후 이자 : 1,167,480.
    •  1천만원 36개월 복리 금리 4.92% 세후 이자 : 1,342,598.

     

    1천만원을 기준으로 계산해 보았을 때, 이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장 좋은 선택은 12개월 복리 상품이며 비과세 종합저축으로 가입이 가능한 상품이기 때문에

    가능하시면 세재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대상은 : 만 65세 이상 거주자, 장애인 복지법에 의한 장애인, 독립유공자와 유족 또는 가족,

    국가유공자증에 의한 상이자,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고엽제후유의증 환자, 5.18 민주화운동 부상자입니다.

     

    한도는 1인당 5천만원 이내이며 직전 3개년도 과세기간 내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이 제한됩니다.

     

    728x90

     

    HB저축은행 정기예금

     

    오늘은 HB저축은행 정기예금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  최고 6.06%인 고금리 상품.
    •  꼭 복리로 가입하는 것을 추천.
    •  비과세 종합저축으로도 가능하다.

     

    본 포스팅은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