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매매 방법에 대하여, 동시호가란 무엇일까요?재테크 2021. 6. 11. 20:29반응형
주식을 시작하려면 가장 먼저 계좌를 만들어야 합니다.
그다음에 계좌에 돈을 입금하고 주식을 사면 됩니다.
그럼 매매는 언제 가능할까요? 24시간?
매매시간은 아쉽게도 24시간이 아니라 정해져 있는데요.
오늘은 주식 매매 방법과 동시호가주문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주식 매매 방법
주식 매매 방법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정가 주문
- 시장가 주문
- 조건부 지정가 주문
- 최유리 지정가 주문
- 최우선 지정가 주문
- 조건부여 주문
지정가는 원하는 종목의 수량과 가격을 지정해서 내는 주문으로
보통 매매 주문이라고 하면 바로 이 지정가 주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체결이 되지 않으면 다시 호가를 정정해야 합니다.
시장가는 원하는 종목과 수량은 지정하지만 가격은 직접 지정하지 않고
현재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으로 매매를 하는 것인데요.
가장 빠르게 체결이 가능한 주문이지만 급등이나 급락에서 원하는 가격보다 불리하게 체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조건부 지정가는 장 중에 지정가를 정했지만 체결되지 않아서 장 마감 10분 전
동시호가 때 시장가로 전환되는 것입니다. 시세를 계속해서 지켜볼 수 없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방법.
최유리 지정가는 종목과 수량은 지정하고 매수의 경우 최우선 매도가로
반대로 매도의 경우에는 최우선 매수가로 지정되는 방법입니다. 정규시간에 가능한 주문입니다.
최우선 지정가는 종목과 수량을 지정하고 매수의 경우 최우선 매수가로
매도의 경우에는 최우선 매도가로 지정되는 방법. 마찬가지로 정규시간에 가능합니다.
조건부여는 위의 주문에 일정한 조건을 붙여서 내는 것을 말하는데
보통 IOC 또는 FOK 두 가지가 있습니다.- IOC (Immediate or Cancel)
- FOK (Fill or Kill)
IOC는 체결할 수 있는 수량에 대해서만 매매를 체결, 나머지는 취소하는 조건이 붙는 방법.
FOK는 매매 수량 전부에 대해서만 매매하고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부 취소하는 것.
동시호가는 무엇일까요?- 장 개시 30분 전 또는 장 마감 10분 전.
- 매수와 매도의 호가를 동시에 체결.
가격과 수량만 맞으면 체결하는 제도를 동시호가라고 하는데요.
가격은 매수의 경우 높을수록 매도의 경우 낮을수록 유리하고
수량은 많은 주문이 적은 것에 비해 유리합니다.또한 거래가 중단되거나 다시 시작하거나 지수가 급락해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경우
변동성 완화장치인 VI가 발동된 경우에도 적용이 됩니다.동시호가
오늘은 주식 매매 주문 방법과 동시호가제도에 대하여 이야기해보았습니다.- 다양한 주문을 이용해서 보다 유리한 매매를 할 수 있다.
- 장 개시 30분 전과 장 마감 10분 전은 동시호가로 진행된다.
본 포스팅은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반응형'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비블록에 대해서, 코인 시세 및 전망 (0) 2021.06.13 ETF란 무엇인가, 운용사는 어디가 있을까요? (0) 2021.06.10 메타버스 관련주, 전망에 대해 VR과 AR은 무엇일까 (0) 2021.06.08